Docker (도커) 란?
컨테이너 기술 - 다양한 운영체제 - 가상 환경

도커
개발에 있어서 여러 복잡한 환경이 구성되기 마련이다. 특정 애플리케이션 뿐만이 아니라 CUDA, 여러 라이브러리 등이 존재하는데 이를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여 이 모든 것이 한 번에 저장되게 한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를 '도커'라 한다.

컨테이너
이미지를 격리된 공간에서 실행한 가상 환경으로, 가상 머신처럼 하드웨어를 전부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프로세스)를 격리시켜 실행시키는 곳이다. 따라서 성능적으로 손실이 거의 없이 빠르게 실행이 가능하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컨테이너를 생성 및 실행시켜 접속한 후, 그 안에서 명령어를 입력함
- APT-GET 등 패키지 매니지를 통해 그 안에서 새로운 라이브러리 구성을 만들수도 있음
- CPU / 메모리 사용량 / GPU / SHM 사용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음
이미지
컨테이너 실행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 라이브러리 / 환경 설정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 결과적으로는 컨테이너는 특정 이미지를 실행한 상태이다. 같은 이미지로 여러 컨테이너를 만들수 있고, 만들어진 컨테이너에서 수정되는 것을 새로운 이미지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곳은 여러가지 있는데, 공식적인 오픈 소스 저장소로 Docker Hub이 있다.
Docker Hub (사이트)
github 과 마찬가지로 저장소 서비스로 이곳에서 다양한 public 이미지들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설치 [리눅스 / 윈도우 모든 곳에서 설치 가능]
Window[윈도우] - Docker 자체는 리눅스 (Linux) 기반이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WSL2를 사용하여 Dock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Docker Desktop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설치는 다음 링크에서 가능하다. WSL2 설치 및 사용법은 앞선 글에서 볼 수 있다.
[WSL2] 0. 소개 및 설치
Windows Subsystem for Linux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기존 WSL에 이어 WSL2가 나와서 더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한다. 이는 간단하게 말하면, 리눅스 운영체제의 쉘 및 시스템을 윈도우에서
auzii.tistory.com
Linux - 다음 명령어를 통해 쉽게 설치 가능
sudo wget -qO- http://get.docker.com/ | sh
위 명령어는 스크립트를 통해 실행한 것으로, 이러한 스크립트가 아닌 우분투에서 직접 설치도 가능하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io
sudo ln -sf /usr/bin/docker.io /usr/local/bin/docker
추천 관련 사이트
https://www.notion.so/b67ed727aea4467cbc3226bb0c8e8336
왕초보도 따라하는 도커 기초 강의
목차
www.notion.so
https://www.lainyzine.com/ko/article/understanding-docker-hub-and-docker-official-images/
Docker Hub와 Docker 공식 이미지의 이해
Docker Hub는 컨테이너 관리 도구 Docker의 기본이자 공식 이미지 저장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Docker Hub를 둘러보면서 이미지 저장소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www.lainyzine.com
'SW Tool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ocker] 1. 간단 사용법 정리 (0) | 2022.03.07 |
|---|